|
|

|
유방암 검진 (유방암 검진의 중요성)
|
|
"유방암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 여성암 중에서 80년대는 자궁암, 위암에 이어서 3위였던 유방암이, 90년대는 2위, 2000년대는 1위로 제일 많이 발생하는 여성암이 되었습니다. 식생활의 서구화와 여성들의 만혼 추세, 그리고 모유 수유의 감소 등으로 앞으로도 유방암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여성은 미국과 달리 30~40대 여성에게 유방암 발생이 많아 젊은 나이에도 철저한 검진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

|
|
|
|
|

|
그네분만법
|
|
유방암의 초기에는 증상이 별로 없기 때문에 환자 자신이 병변을 조기 발견하기는 어렵지만,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발견되면 반드시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야 됩니다.
|
|
|
|
|
|
▶
|
유두가 들어가거나 비늘이나 습진이 생긴다.
|
|
|
|
|
|
|
▶
|
유방의 피부가 오렌지 껍질같이 벌겋게 된다.
|
|
|
|
|
유방암은 무엇보다 조기 진단과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며, 유방암도 일찍 발견하면 완치될 수 있습니다. 한국유방암학회, 국립암센터는 조기
검진을 아래와 같이 권고하고 있습니다. 매달에 한번, 폐경전 여성은 월경이 끝난 날부터 1주일 후에, 폐경 후 여성은 매월 1일에 자가검진을
해야 합니다.
|
|
|
|
|

|
자가 검진
|
|
유방암 조기 발견을 위하여 20세 이상이면 누구나 유방 자가 진단을 해야 합니다.
|
|
01
|
 |
|
먼저 거울앞에 서서 자신의 유방을 보며 유방의 형태를 관찰합니다. 유방의 전체적인 윤곽, 좌우대칭 여부, 유두와 피부의 함몰, 피부에 이상이 있는지 등을 관찰한다.
|
 |
|
|
|
02
|
 |
|
양손을 위로 올려 유방을 완전히 노출 시킨 후 피부의 함몰을 관찰합니다.
|
 |
|
|
|
03
|
 |
|
왼손을 어깨위로 올린 후 오른쪽 가운데 세 손가락의 끝을 모아 유방의 바깥쪽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원형을 그리며, 유두를 향하여 천천히 들어오면서 유방을 촉진합니다. 촉진을 유방을 약간 눌러서 비비는 느낌으로 실시합니다.
|
 |
|
|
|
04
|
 |
|
유두를 꼭 짜서 분비물이 있는지 검사합니다. (속옷에 피가 묻었는지 확인해 봅니다.)
|
 |
|
|
|
05
|
 |
|
겨드랑이에 멍울이 있는지 만져 봅니다.
|
 |
|
|
|
06
|
 |
|
반대쪽 유방도 같은 방법으로 검사합니다.
|
 |
|
|
|
|
|
|

|
유방촬영술
|
|
질염의 발생요인들에 대한 주의력을 항상 기울이고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최상의 예방법입니다. 세척제로 지나친 세척을 할땐 정상적인
균까지 제거됨으로 일주일에 일회 정도면 이상적이며 특별한 여건이 있을 때는 바로 세척토록 합니다.
|
|
|
|
|

|
유방 초음파 검사
|
|
질염의 발생요인들에 대한 주의력을 항상 기울이고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최상의 예방법입니다. 세척제로 지나친 세척을 할땐 정상적인
균까지 제거됨으로 일주일에 일회 정도면 이상적이며 특별한 여건이 있을 때는 바로 세척토록 합니다.
|
|
|
|
|

|
유방 조직 검사
|
|
총 조직 검사
|
|
▶
|
외경부의 염증은 질염의 원인균과 같으며 치료도 질염에 준합니다. 반면 내경부염의 경우는 조금 다릅니다. 냉이 점액성으로 고름같이
흐르면, 색깔은 대개 황색이나 녹색을 띱니다. 원인균의 50%는 아직 원인균이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
|
|
맘모톰 조직 검사
|
|
▶
|
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는 성병으로 전파력이 매우 강합니다. 후유증으로 붙임, 골반염, 조산등이 있고 물같은 냉이 흐르면
트리코모나스 질염을 의심해야 합니다. 요도를 타고 방광까지 침입하여 방광염을 유발하고 자궁내막을 타고 올라가 골반염을 일으켜
아랫배를 아프게 하기도 합니다.
|
|
|
절개 조직 검사
|
|
▶
|
질내의 정상균이 세력을 잃고 산소가 없어야 잘자라는 혐기성 세균이 100배이상 증식하여 생기는 질염으로 염증보다 증상이 현저하여
질증이라 부릅니다. 냉대하증과 함께 생선 비린내가 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후유증으로 붙임과 조산을 할 수도 있습니다.
|
|
|
|
|
|